<div>
<div class="text_content2" style="text-align: center;">
<span style="color: #ffad27; font-family: "KoPub Batang", sans-serif; font-size: 34px; letter-spacing: -1px;">
<b>[고1·2] 진로 탐색과 학교생활기록부의 방향성</b>
</span>
</div>
<div class="text_content2" style="text-align: right;">
<span style="color: #ffad27; font-family: "KoPub Batang", sans-serif; font-size: 18px;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br></span>
</div>
<div class="text_content2" style="text-align: center;">
<span style="font-family: "Nanum Gothic", sans-serif; font-size: 18px; letter-spacing: -0.5px;"><b></b></span>
<div class="text_content2" style="text-align: center;">
<span style="font-family: "Nanum Gothic", sans-serif; font-size: 18px; letter-spacing: -0.5px;">부산 양정고등학교 교사 최경해</span>
</div>
<span style="font-family: "Nanum Gothic", sans-serif; font-size: 0px; letter-spacing: -0.5px;"> </span>
<div class="sub_5titlecont" style="margin: 0px; padding: 35px 0px; 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variant-alternates: inherit; font-variant-positio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16px; font-size: 20px; line-height: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letter-spacing: -1px; 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center;">
<div class="table_content" style="margin: 0px 0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weight: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16px; font-size: 17px; line-height: 30.6px; font-family: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max-width: 1000px; letter-spacing: -1.5px; text-align: justify;">
<div class="text_content2" style="margin: 0px 0px -1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1학기 기말고사가 끝나면 학생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 있다.
<br>"학교생활기록부는 어떻게 써야 하나요?"
<br>
<br>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선 진로 탐색부터 이야기해야 한다. 고교학점제의 핵심은 "학생이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학업 계획을 세우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학생 스스로 진로와 학업을 설계하고 실행해 가는 과정이 학교생활기록부에 드러나야 한다는 의미이다.
<br>
<br>진로는 단순히 ‘장래희망’을 정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어떤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나의 삶의 방향’을 정해나가는 과정이다.
<br>
<br>고등학교 1학년은 진로 탐색의 시작 시기로 다양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나는 무엇을 좋아하는가?’, ‘나는 무엇을 잘하는가?’, ‘나는 어떤 일을 소중하게 여기는가?’를 끊임없이 고민하는 과정에서 진로 성숙도가 저절로 높아진다.
<br>
<br>이를 위해 커리어넷의 진로심리검사를 통해 자신의 특성을 파악해 보기도 하고, 선배와의 대화, 교사와의 상담, 다양한 분야의 독서, 진로 특강 등을 통해 스스로를 탐색해야 한다. 많은 이들이 "아직 고1인데 어떻게 진로를 정하냐"고 묻지만, 제대로 꿈을 꾸어 본 경험이 있어야 진로 변경도 유의미하게 할 수 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치열하게 고민해 본 경험이 없는 학생은 진로를 변경하는 것도 어렵다.
<br>
<br>직업흥미검사, 적성검사, 가치관검사, 인성검사 등과 같은 진로 탐색 검사를 통해 자신의 성향과 강점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진로를 설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검사 결과는 그 자체로 답을 주지 않는다. 검사 결과를 활용해 학생 스스로 자신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구체적인 진로·학업계획서를 작성해 보며 교사와 상담을 통해 진로를 구체화 해가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
<br>
<br>고등학교 2학년은 진로 탐색의 핵심 시기이므로 다양한 진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와 연계된 활동 속에서 스스로를 발견해야 한다.
<br>
<br>진로 탐색은 대학과 학과에 대한 탐색으로 확장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계공학부를 지망한다면, 대학 교육과정 속의 협업 기반 수업이 많다는 것을 알고, 고등학교에서는 팀 프로젝트나 모둠 활동에서 협업 능력을 어떻게 키우고 있는지를 스스로 성찰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이 학교생활기록부의 동아리 활동,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진로활동 등에 자연스럽게 반영되면, 학생의 진로탐색 노력과 학업설계 역량이 명확하게 드러나게 된다.
<br>
<br>탐구활동을 하는 것에 의의를 두는 학생들이 종종 있다. 탐구활동의 경험에서 더 나아가 탐구활동의 깊이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단순한 인터넷 검색으로 주제를 정하고 자료를 모으는 방식이 아니라, 교과서에서 배운 개념, 독서, 실험, 경험 등을 활용해 자신만의 질문을 던지고 탐구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체육대회 “응원이 운동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와 같은 호기심에서 출발해 이를 가설로 세워 실험할 수 있다. 운동 능력을 ‘빈 골대에 공을 차 넣은 횟수’로 정의하고 평소와 응원·야유 상황에서 각각 20번씩 슈팅해 성공 횟수를 비교하고 결과를 대응표본 t-검증으로 통계적 유의미성을 분석해 본다. 여기에 독서 활동을 통해 실험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탐구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기록한다면 자연스럽게 탐구의 깊이와 과정이 학교생활기록부에 담기게 된다. 이를 통해 학교생활기록부의 진정성과 충실도는 자연스럽게 높아질 것이다.
<br>
<br>학교생활이 충실히 반영된 학교생활기록부는 항목별로 대학 입학 전형에서 평가 요소로 활용되며, 수시모집 기준으로 각 항목의 반영 범위와 방식은 다음과 같다.
</div>
<br>
<div class="margin_T_10 text_center" style="margin: 10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ext-align: center;">
<img src="https://magazine.adiga.kr/adiga/202508/images/sub_1_1_0.png" alt=""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br>
</div>
<br>
<table class="deco_table1"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spacing: 0px; word-break: break-all;">
<tbody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5px 0px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top; width: 22px;">①
</th>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인적·학적사항 : 전출입 상태 기재되는 상황으로 전입·전출 등 학적변동사항을 확인함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5px 0px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top; width: 22px;">②
</th>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출결상항 : 반복적인 지각, 조퇴, 결과가 있거나 질병으로 인한 결석이 있을 경우 특기사항 기재 내용을 참고함. 미인정 결석, 지각, 조퇴의 경우 학생부에서 이유와 원인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불이익 발생 가능함.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5px 0px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top; width: 22px;">③
</th>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수상경력(대입미반영)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5px 0px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top; width: 22px;">④
</th>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자격증취득 및 국가직무능력 표준이수상황(대입미반영)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5px 0px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top; width: 22px;">⑤
</th>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학교폭력 조치상황 관리 : 학교폭력 조치사항 유형에 따라 지원 자격을 제한하거나 차등적인 점수 기준을 마련하여 정량적으로 반영하고 서류평가 시 정성적으로 반영함.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5px 0px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top; width: 22px;">⑥
</th>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창의적 체험활동 상황 : 구체적 활동 사실과 학생의 태도 및 노력에 의한 행동 변화와 성장이 기재되는 상황임. 단체활동 속에 드러나는 학생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는 자율·자치활동(2학년은 자율활동)(학년당 500자), 지원 모집단위에 대한 관심 및 역량, 활동에서 나타나는 역할과 과정을 평가하는 동아리활동(학년당 500자), 학생부의 타 영역과 연계하여 학생의 지원동기 및 진로탐색에 대한 의지 등을 판단하고, 다양한 영역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진로가 구체화되는 모습을 통해 학생의 진학 의지를 판단하는 진로활동(학년당 700자), 학교교육계획에 따라 선생님의 지도하에 이루어진 활동 실적은 반영 가능한 봉사활동실적은 방향성, 지속성, 자발성, 적극성 등을 고려하여 활동의 진정성을 파악함.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5px 0px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top; width: 22px;">⑦
</th>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교과학습발달상황 : 공통과목 외에도 학생의 선택과목(일반/진로/융합)(2학년은 선택과목(일반/진로)) 이수 현황과 학습 경험을 실질적으로 파악하는 상황임. 과목별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의 특성 및 학습활동 참여도, 자기주도적 학습에 의한 변화와 성장 정도를 중심으로 기재되는 상황임. 과목 이수 현황과 과목당 500자씩 기재되어 학생부의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중요한 상황임. 각 과목의 학업성취도를 통해 기초학업역량 및 전공수학역량을 평가하고,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통해 학습 활동의 구체적인 내용, 성취 수준, 성장 사례, 주도적인 학습 과정과 탐구 모습 등을 평가함. 특히 교육과정에서 교과 선택 기회가 확대되면서 진로에 대한 고민이 과목 선택의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과목 이수 현황을 통해 전공에 대한 관심도 및 진로탐색노력을 평가하는데 활용함.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5px 0px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top; width: 22px;">⑧
</th>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독서활동상황(대입미반영)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h style="margin: 0px; padding: 0px 5px 0px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top; width: 22px;">⑨
</th>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 학생의 학습, 행동 및 인성 등 학교생활에 대한 상시 관찰·평가한 누가기록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구체적인 변화와 성장들을 종합적으로 기재되는 상황임. 교사추천서 역할을 하는 영역으로 학생의 학교생활을 그려볼 수 있어 충실하고 주도적인 학교생활을 평가함.
</td>
</tr>
<tr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d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height: 20px;">
</td>
</tr>
</tbody>
</table>
<div class="text_center2"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학교생활기록부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자신의 학업과 삶을 디자인해 나가는 과정이다.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업과 학과를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과목 선택과 학업 역량을 키우며, 스스로의 호기심을 해결해 나가는 주체적인 학생, 그리고 그 경험이 쌓아 스스로의 성장을 설계해 나가는 학생이야말로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이다. 진로탐색과 자기주도적 학습, 그리고 성장의 기록을 남기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학교생활기록부의 방향이다.
</div>
</div>
</div>
</div>
</div>
<a href="https://magazine.adiga.kr/adiga/202506/sub_1_1.php" target="_blank">
<font size="3" color="blue">
<ins>기사 내용 전체 보기</ins>
</font>
</a>
<div>
<font color="blue">
<font size="3">
<br></font>
</font>
</div>
<div>
<font size="3">[출처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font>
</div>
<div>
<font size="3">
<br></font>
</div>
<div>
<font size="3">
<br></font>
</div>
<div>
<br></div>
댓글 0개